요즘처럼 금리가 높고 시장 변동성이 클 때, 매달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어주는 월배당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.
특히 미국 AI·테크 기업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ETF들이 주목받고 있는데요,
오늘은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세 가지 상품을 비교해보며, 월 20만 원 배당을 목표로 할 때 필요한 투자금과 전략적 차이점을 정리해볼게요.
미국 테크에 투자하여 주식 성장에도 한발
배당금을 받아 재투자 하는 방식으로 배당에도 한발 들여놓는 테크 배당 커버드콜 ETF 삼총사
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
💰 월 20만 원 배당금 목표 투자금 계산
- 필요한 주식 수 : 1667주
- 필요한 투자금액 :약 19,670,000원
TIGER 미국테크TOP10 타겟 커버드콜
💰 월 20만 원 배당금 목표 투자금 계산
- 필요한 주식 수 : 1970주
- 필요한 투자금액 :약 28,660,000원
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
💰 월 20만 원 배당금 목표 투자금 계산
- 필요한 주식 수 : 1575주
- 필요한 투자금액 :약 18,600,000원
전략적 차이점
KODEX는 AI 대표 기업에 집중 투자하며, 주간 커버드콜 전략으로 프리미엄 수익을 추구 → 수익률은 중간 수준이지만, 유동성과 브랜드 신뢰도가 높음.
TIGER는 가장 보수적인 전략으로, 월간 커버드콜을 통해 안정적인 배당을 제공 → 주가 상승 참여율이 높아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만, 월 20만 원 달성엔 가장 많은 투자금이 필요
RISE는 일간 고정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해, 높은 배당수익률과 낮은 투자금으로 월 20만 원을 달성할 수 있음 → 다만, 데일리 옵션 전략 특성상 수익 변동성이 클 수 있어요.
어떤 ETF가 나에게 맞을까?
안정성과 장기 성장성을 중시한다면 → TIGER
배당 효율성과 공격적 수익 추구 → RISE
균형 잡힌 전략과 브랜드 신뢰도 → KODEX
마무리 : 월배당ETF로 현금 흐름 만들기
ETF 하나를 고를 때는 단순히 배당금만 볼 게 아니라,
운용 전략, 수익률, 리스크, 수수료까지 함께 고려해야 해요.
특히 ISA 계좌를 활용하면 배당소득세를 줄일 수 있어, 실수령액이 더 늘어나고 복리 효과도 극대화됩니다.
저는 개인적으로 RISE로 시작해서 KODEX도 병행 투자하고 있어요.
서로 다른 전략이라 분산 효과도 있고, 시장 상황에 따라 균형을 맞출 수 있어서 만족스럽더라고요.